<촛불시민혁명과 언론1>

‘평화통일과 남북화해협력 보도준칙’은 어디로

구민선/생활정치시대

촛불집회에서 시민들이 적폐청산 요구 중 가장 많이 외친 하나가 바로 ‘언론개혁’이다.

언론 스스로도 언론적폐청산과 언론독립을 외쳤고 언론 본연의 역할을 다짐했다.

촛불시민혁명에의한 박근혜정권 탄핵 이후 한국 언론의 현주소는 어떨까?

한국 언론의 현주소를 알 수있는 대표적인 사례 중 하나가 바로 1995년 언론 스스로 만든 <평화통일과 남북 화해 협력을 위한 보도 제작 준칙>과 그간 언론의 보도자세, 관련 보도 및 제작 내용의 비교다.

 

한국사회 주류 언론에선

‘평화통일과 남북 화해 협력을 위한 보도 제작 준칙’은

문서로만 존재하고

현실에선 찾아보기 힘들고, 대신

‘반 평화통일과 남북화해협력 방해를 위한 보도 준칙’은

문서상으로 존재하지 않지만

실제 광범위하다.

전국언론노동조합연맹, 한국기자협회, 한국방송프로듀서연합회  등 한국의 대표적 언론단체들은 스스로 여러 보도 준칙들을 만들었고 그 중 하나가 바로 1995년 만든 <평화통일과 남북 화해 협력을 위한 보도 제작 준칙>이다.

그러나 언론이 가장 지키지 않는 보도준칙이 바로 <평화통일과 남북 화해 협력을 위한 보도 제작 준칙>이다. 잘 안지키는 정도가 아니라 거의 정 반대로 보도해왔다.

혹시 <반 평화통일과 남북화해협력 방해를 위한 보도 준칙>이 비공개로 별도로 존재 하는 걸까? 

대통령을 비롯해 대한민국 국민 모두 헌법상 남북한 통일의 책무, 그것도 평화적 방법으로의 통일 책무가 있다. 언론도 예외가 아니다. 대한민국 헌법은 남북한이 이념적, 군사적 대결 상대가 아닌 회복해야할 동포로서 평화적 통일 정책을 추진해야할 대상으로 명시하고 있다.

평화와 인권, 전쟁을 반대하고 생명을 보호해야 할 인류 보편 가치 , 헌법적 평화통일 책무에 따라 평화통일정책 로드맵을 만들고 실천하는 일원으로서 언론의 공적 책무는 매우 중요하다.

그럼에도 언론은 북한을 항상 주적으로 한정하여 군비 경쟁, 군사적 대결구도 중심 보도와 북한에 대한 허위와 비난, 이념 논쟁이 난무하는 프로그램과 비방, 냉전, 일방적 보도들로 채워왔다.

  한국의 주요 언론들이 <평화통일과 남북화해협력을 위한 보도제작준칙>과 정 반대의 보도를 지속해온 이유는 무엇일까?

한국의 주요 언론들이 남북 당사자가 사라진 한반도정책을 조성하고 , 남과 북이, 또 국민들이 멈춰진 시계처럼 분단의 그 시간, 그 자리에서 헤어나지 못하게 하며, 스스로 만든 <평화통일과 남북 화해 협력을 위한 보도 제작 준칙>과 거의 정반대의 관련 보도를 지속하는 구시대적이고, 냉전적이고 반민주, 반헌법적 보도태도의 이유는 무엇일까?

<평화통일과 남북 화해 협력을 위한 보도 제작 준칙>과 그간 한국의 주류 언론들의 북한 관련 보도들을 비교해보면 그 자체로  많은 시사점을 준다.

구민선/생활정치시대

tell@selftimes.net